본문 바로가기
상담학 공부/투사검사

HTP의 개괄 및 실시 방법

by 쭈농 2024. 2. 29.
반응형

HTP 개괄

- 19C 말부터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림이 체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

- 이를 최초로 표준화 작업을 한 사람은 Goodenough(1926)으로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인물화의 발달과정을 조사하여 표준화시켰으며, Harris(1963)가 이를 더욱 발달시킴

- Buck(1948)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HTP를 개발했고, Buck과 Hammer(1969)는 집-나무-사람(House-Tree-Person) 그림을 발달적, 투사적 측면에서 더욱 발달시킴 

- Jolles(1964)에 의한 분류는 집, 나무, 사람에 대한 특징을 상세히 설명

- Hammer(1971)는 투사적 그림의 임상적 적용을 확장했고, Koppiz(1986)의 발달에 따른 점수화 방법과 인물화의 분석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음

- 진단을 목적으로 연필과 종이만을 사용해 HTP를 그리던 것을 Berbensky가 1950년대 후반에 치료를 목적으로 색을 칠하였는데, 이는 내담자가 그들 자신을 어떻게 느끼며 과거를 어떻게 느끼는지 등을 알게 하는 자아발견의 원천으로 삼게 하기 위함이었음 

 

HTP 실시 방법 

준비물: 흰 도화지 4장, 연필, 지우개 

유의점: 그림을 그릴 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해두기

실시방법

- 도화지 한 장을 가로로 제시하면서 "집을 그리세요"라고 지시

- 집을 다 그리고 나면 다시 도화지 한장을 세로로 제시하며 "나무를 그리세요"라고 지시 

- 나무를 다 그리고 나면 도화지 한장을 세로로 제시하며 "사람을 그리세요. 이 때 막대 인물상이나 만화처럼 그리지 말고 사람 전체를 그리세요." 라고 지시

- 다시 도화지를 세로로 제시하며 "그 사람과 반대되는 성을 그리세요"라고 지시 

- 다 그리고 나면 각각의 그림에 대해 20가지의 질문을 실시 

 

HTP의 한계

- HTP는 정신병리학적 상황에 있는 환자들로부터 발달시켜 표준화한 것이기 때문에 HTP 문헌 대부분이 기질성 정신분열증 등 정신병리적 명명의 진단적 사용에 중점을 두었음

- 프로이트 학파에 기반을 둔 HTP 해석은 이러한 기반내에서만 적합하도록 모든 자료와 상징들을 제한함

- HTP는 각각의 종이 위에 집, 나무, 사람을 그리도록 하였는데, 이로 인해 각각 그려진 그림들은 행동이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데 미약함

 

그림 검사(HTP, KFD)의 대표 질문과 유의 사항

 

그림 검사(HTP, KFD)의 대표 질문과 유의 사항

그림 검사의 정의 투사적 그림 검사(Projective Drawing Test) - 그림이 개인의 심리적 현실 및 주관적 경험을 드러내 준다는 전제 하에 수검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 -

jhkm27.tistory.com


 

위 내용은 동아문화사의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편을 참고해 작성하였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