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담학 공부/투사검사9

문장완성검사의 해석 문장완성검사의 해석 1) 구조적 측면 필압 - 일관되게 필압이 강한 경우 불안이나 긴장을 고려할 수 있음 - 일관되게 필압이 약한 경우 무기력, 방어적 태도, 우울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특정 문항 내용만 필압이 강한 경우 그 문항에 포함된 내용이나 대상에 대한 심리적 불편감이 반영되었을 수 있음 맞춤법 및 띄어쓰기 - 쉬운 맞춤법이 틀리는 경우 낮은 지능, 언어장애, 학습장애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띄어쓰기가 안 되고 모두 붙여 쓰는 경우 ADHD를 고려할 수 있음 - 글의 양: 검사지 공간이 부족할 정도로 글의 양이 많을 경우 조증을, 방어적인 태도를 취한 것이 아닌데도 글의 양이 현저히 적을 경우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음 2) 내용적 측면 - 가족 영역: 부모, 가족에 대한 일련의 태도 - .. 2024. 3. 15.
문장완성검사의 실시 문장완성검사의 정의 - 투사검사의 한 종류로서 불완전한 문장 뒷부분을 채워 넣는 과정에서 투사되는 수검자 내면의 욕구, 소망, 태도 등의 내용을 해석하는 심리검사 - Jung의 단어 연상 검사를 보충하기 위해 처음 사용 - Payne, 1928 문장완성검사의 특징 1) 뚜렷한 양적 채점 기준이 없음 - 외국의 경우 Rotter, Sacks, Loevinger 등의 기준이 존재 - 국내에서 사용되는 문장완성검사는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외국판의 기준을 사용하면 안 됨 2) 다른 투사 검사와의 차이점 - 로샤 검사, TAT(주제 통각 검사): 시각적 자극을 제공해 투사 유도 - 문장완성검사: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 투사 유도 3) 문장완성검사의 장, 단점 장점 - 집단 실시도 가능한 손쉬운 자기보.. 2024. 3. 13.
HTP의 개괄 및 실시 방법 HTP 개괄 - 19C 말부터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림이 체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 - 이를 최초로 표준화 작업을 한 사람은 Goodenough(1926)으로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인물화의 발달과정을 조사하여 표준화시켰으며, Harris(1963)가 이를 더욱 발달시킴 - Buck(1948)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HTP를 개발했고, Buck과 Hammer(1969)는 집-나무-사람(House-Tree-Person) 그림을 발달적, 투사적 측면에서 더욱 발달시킴 - Jolles(1964)에 의한 분류는 집, 나무, 사람에 대한 특징을 상세히 설명 - Hammer(1971)는 투사적 그림의 임상적 적용을 확장했고, Koppiz(1986)의 발달에 따른 점수화 방법과 인물화의.. 2024. 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