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학 공부/여러가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합격 후기

by 쭈농 2023. 7. 9.
반응형

여는 글

안녕하세요!

일전에 2023년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응시 후기로 찾아뵈었었는데요, 

이번에는 정말 다행히도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합격 후기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2023년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후기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년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후기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후기 지난 6월 24일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이 있었습니다. 시험에 응시하셨던 2급, 1급 응시자 분들 모두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도 24일에 상

jhkm27.tistory.com

반응형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 합격 후기 

일단 합격 인증샷부터 올리겠습니다!

 

상담심리학 88점, 발달심리학 48점, 이상심리학 60점, 학습심리학 68점,

심리검사 52점으로 평균 63.2점을 받으며 합격했습니다. 

 

정말... 정말... 쉽지 않았습니다... 

솔직히 평균 63.2점이라는 아슬한 턱걸이 점수로 후기를 올려도 되나 싶긴 합니다만, 

합격은 합격이기도 하고 

제 경험도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공유해 보겠습니다. 

 

상담심리사 2급 공부

저는 상담심리사 2급 공부를 위해 '상담심리사 최종모의고사 책',

청소년상담사 2급, 3급, 임상심리사 2급 기출문제'들을 공부했었어요. 

 

먼저 합격하신 선생님들께서는 여기에 더해

각 과목별로 개론서 한 권정도는 읽어보라는 얘기를 듣긴 했는데... 

이상심리학 과목과 학습심리학 과목만 책을 좀 봤었고, 

발달심리학 과목은 청소년상담사 3급에 있는 정리본을 보는 정도만 했었네요.

나머지 과목은 기출문제들 위주로 보았고요.  

 

상담심리사 최종모의고사 책

상담심리사 최종모의고사 책은 먼저 합격한 선생님에게서 

풀어보면서 문제 유형에 대해서 감을 잡아보면 좋다는 말을 들어 구매했었어요. 

 

문제 난이도는 실제 시험 문제보다 한 두단계 정도는 더 낮게 느껴졌네요. 

다만 내가 알지 못했던 학자나 이론에 대해서 아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었습니다. 

 

기출문제

상담심리사 2급 필기시험에는 청소년상담사 2급, 3급

그리고 임상심리사 2급 기출문제들과 겹치는 과목들이 조금씩 있습니다. 

 

저는 청소년상담사 3급, 2급 시험을 모두 봤었는데, 

시간이 지나긴 했는지 문제들이 많이 생소했네요ㅠㅠ 

 

기출문제의 경우 인터넷에서 문제은행을 통해 어렵지않게 구할 수 있으니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상담심리학

88점을 받은 상담심리학 교과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맙다, 상담심리학! 

정말 상담심리학 과목에서 선방하며 평균 점수를 끌어올려주지 않았더라면... 

생각만 해도 정신이 다시금 아찔해지네요. 

 

매년 난이도가 조금씩 다르긴 하겠습니다만 

제가 응시한 2023년도의 상담심리학 교과목 난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았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88점씩이나 받았기도 했겠고요ㅎㅎ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윤리강령 관련 문제도 

두어 번 읽어보면 충분히 맞출 수 있는 정도로 나왔던 것 같고, 

이론들도 생소한 이론들은 안 나왔던 것 같습니다. 

 

상담심리학 교과목은 통상적인 상담심리학부터 

집단상담, 진로상담, 가족상담 영역에도 공부했었어요. 

다만 상담심리학 위주로 하고 이외의 영역들에 대해선 

포괄적으로 크게 크게 보면서 넘어갔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제가 청소년상담사 2급 때 선택과목으로 가족상담을 선택했던 것이나

직업상담사 2급을 공부하기도 했는데 그때의 경험들이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 때 정리해 둔 자료들을 참고했고 따로 책을 보지는 않았었네요.

 

발달심리학 

48점을 받으며 제정신을 아찔하게 했던 발달심리학입니다. 

 

발달심리학 교과목 시험을 볼 때에는 

저에게는 다소 생소한 학자가 나와서 

시험을 볼 때에도 '아... 일어났다...'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었어요. 

 

그런 만큼 필기시험을 준비하시는 분이 있다면 

저와 같은 일을 겪지 않도록  발달심리학 개론서를 봐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발달심리학 교과목을 공부할 때 

청소년상담사 3급의 발달심리 교과목 내용을 많이 참고했었어요. 

 

결과적으로는 실제 시험에서 제가 공부하지 않았던 지식들이 꽤 많이 나와 

부족함이 많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상심리학

60점을 받은 이상심리학입니다. 딱 뎀

딱 60점이 나오면서 1인분을 해주었네요. 

 

이상심리학 공부는 아마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그러하듯

DSM-5 위주로 공부했고, 여기에 더해 

이상심리학의 역사 등과 정신 질환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정도를 더하여 공부했었습니다.  

 

다만 DSM-5의 범위가 워낙에 넓어서 공부한답시고 했는데도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많이 나오기도 했던 것 같아요. 

 

아니 근데 솔직히 정신장애 종류가 몇 갠데

각 장애별 진단기준들을 어떻게 외우냐고요... 

싶은 원망도 들지만! 

60점 이상이면 되는 거니까요! 

 

학습심리학

68점으로 미약하지만 평균 점수가 올라가는 데에도 힘을 준 학습심리학 교과목입니다.

 

학습심리학 교과목을 공부할 때에는 

제가 학생 시절 공부했던 학습심리학 과목의 교재를 많이 참고했었습니다.

 

여러 학습이론과 기억이론  많이 공부했던 것 같은데 

68점이라 좀 아쉽기도 하고 그러네요. 

 

심리검사 

마지막으로 52점을 받은 심리검사입니다. 

과락은 면했지만 목표인 60점에는 조금 부족한 점수였네요. 

 

심리검사 교과목을 공부할 때에도 

연구방법부터 생소한 객관검사, 투사검사들까지 공부했었는데 

로샤 채점문제 등 어려운 문제가 있어 제 멘털을 흔들어놓기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총평 

돌이켜보면 시험에는 정말 어려운 문항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맞출 수 있는 문제들을 충분히 (사실, 아슬하게) 맞힌 덕에 

턱걸이로나마 합격했던 것 같아요. 

 

각 과목별 40점, 평균 60점 이상이라면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이기에 

내가 못 맞출 문제들에 신경 쓰기보다는 

조금만 더 공부하면 맞출 수 있는 문제들에 신경 쓰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여담

사실 필기시험 합격 후기 글을 조금 더 일찍 쓰려고 했으나 

한상심 2급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시다시피 면접 서류 준비도 곧바로 있었기에 시간이 좀 걸렸네요... ㅠㅠ

더욱이 자격증 준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을 살아내는 한편으로 처리해야 하는 일인지라 

그만큼 휴식 등의 여가시간도 줄어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하기도 벅찼고요... 

너무 핑계였을까요?ㅎㅎㅎㅎ 

 

아무튼, 이번 글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다음엔 가능하다면 한상심 2급 면접 관련 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