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담학 공부/MMPI-2&A49 [MMPI-2의 임상적 해석] 정상 프로파일, 단독상승 1 정상 프로파일- 열에 한, 둘 정도는 T-척도 70 이상 상승하는 척도가 하나도 없다(김중술, 1970) - 이러한 경우 현재 마음의 고통이 크지 않고, 행복하며, 만족스럽게 살고 있다고 주장하며대인관계도 문제가 없어 보인다. - 위 경우에서는 검사를 받게 된 이유가 중요하다 - 가령 정신과 입원 및 내원한 사람이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보고하는 것은 맥락상 맞지 않다 - 정신과 장면에서 정상적인 MMPI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은문제가 만성화되어 그 상태에 적응한 사람들이다 - 가장 흔한 경우는 만성적 정신병이며, 그다음으로 만성적 성격장애,아주 드물게 신경증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이 외에도 편집증적 경향으로 인해 임상가에 대한 신뢰가 없어자신을 방어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에 신뢰가 형성된 뒤 실시.. 2024. 11. 8. [MMPI-2의 임상적 해석] 임상적 해석과 해석집 서론 임상적 해석- 임상적 해석은 한 개 척도의 단독상승을 해석하거나T 척도 70을 초과해 가장 높게 올라가는 두 개의 상승척도 쌍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 상승척도 쌍이란, 가장 높은 두 척도 중더 높은 척도가 앞에 오도록 기호로 적는 것을 의미한다 - 상승척도 쌍 안에서 어느 척도가 더 높은지에 따라행동특성이 달라짐을 증명하는 경험적인 증거가 있지 않은 이상 문제시하지 않는다 - 어떤 상승척도 쌍(1-3/3-1, 2-7/7-2, 6-8/8-6 등)은 매우 빈번히 나타나지만,어떤 상승척도 쌍(3-0/0-3, 1-6/6-1, 1-5/5-1 등)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데,여기에는 문화적 차이도 포함되어 있다(김중술, 1983) - 상승척도 세 쌍의 경우 학자에 따라 2 code type 해석만으로충분히 신뢰할만한.. 2024. 11. 7. [MMPI-2/A]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 해석 유의점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 해석 시 유의점 타당도 척도 - VRIN, TRIN 척도 80T 이상 상승 시 무효 프로파일 가능성 - F척도 80T 이상(비 임상 장면) 상승 시 무효 프로파일 가능성 - F(P) 척도 100T 이상 상승 시 무효 프로파일 가능성 (이때 VRIN, TRIN 척도가 정상범위인 경우 Malingering(꾀병) 가능성 시사) - FBS 척도 65T 이상 단독 상승 시 이차 이득과 성격 문제 가능성 - S 척도 70T 이상 상승 시 무효 프로파일 가능성 - F-K 척도의 원 점수가 15점 이상인 경우 Faking Bad 가능성, 15점 이하인 경우 Faking Good 가능성 시사 (특히 K, F척도가 각각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하지 않은 경우) 임상 척도 - 65T 이상인 경우 임상적.. 2024. 3. 22. [MMP-2/A] 다면적 인성검사의 해석 MMPI-2/A의 일반적인 해석 방법 - T점수 65를 넘는 두 개(혹은 그 이상)의 척도를 묶어 쌍 척도(Code Pattern) 해석 - 전체 프로파일 양상을 고려하는프로파일 분석(소척도 연결 분석 권장) MMPI-2/A의 해석 순서 원자료(응답지) 해석 - 누락 문항이 있는 경우 내용 확인 - 11문항 이상 누락은 유의, 30문항 이상은 무효 프로파일 - 초기 370문항 내에 누락 문항이 없으면 임상 척도는 해석 가능 - (예→아니오 등으로 수정한 경우)번복 문항이 있는 경우 내용 확인(군집화 가능 여부 확인) - 응답 패턴 경향(Response Sets) 확인(예, 아니오를 번갈아 가며, 10개 문항 모두 예로 체크 등) - 필압, 필기구 변경 여부, 문항 표기 형태 점검 (내담자가 집에서 실시해.. 2024. 3. 20. MMPI-A 척도 구성 MMPI-A의 개발 - 1989년에 MMPI-2가 개정되어 출판 된 뒤, 1992년에 청소년에게 부적절한 문항의 삭제 및 수정과정을 통해 출판됨 - 한국의 경우 2005년에 MMPI-2와 MMPI-A가 동시에 출판 MMPI-A 문항 구성 - 478문항으로, MMPI-2에 비해 89문항 감소 MMPI-A 척도 구성 1) 타당도 척도 F척도 - 비전형 척도 - 자신을 부정적으로 나타내거나 증상을 과장하는 경향을 평가 - F1과 F2로 나뉨 F1 척도 - MMPI-2의 F척도와 유사 - MMPI-A의 350번 문항 내 모든 문항이 위치 - 임상 척도에 대한 반응 타당성 평가 F2척도 - MMPI-A의 242번 문항 이후인 검사 후반부에 포함되는 문항 - 내용 척도 및 보충 척도에 대한 반응 타당성 평가 2) .. 2024. 3. 18. [MMPI-2] 척도 0: 내향성(Social introversion, Si) 척도 0(Si) - 그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지(높을 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를 측정 - 우리 문화에서는 외향성은 좋고 내향성은 나쁘다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내담자들에게 MMPI 결과 해석을 할 때 척도명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 수 있음 - 척도 0을 구성하는 70개 문항들은 사회적 장면에서의 불편함, 고립, 일반적 부적응 및 자기비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함 - 척도 0의 점수는 연령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 척도 0에서 T-점수가 20점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부부는 그들의 사회적 관계에서 부부간의 갈등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됨(Good & Brantner, 1974) - T-점수가 70 이상으로 상승하는 횟수는 100명에 2~3사람 밖에 되지 않는 .. 2023. 12. 28.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