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담학 공부/MMPI-2&A49

[MMPI-2] 척도 9: 경조증(Hypomania, Ma) 척도 9(Ma) - 척도 9의 46개 문항들은 정신적 에너지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높을수록 정력적이고 그 정력으로 무엇인가를 하지 않고는 못 견디는 사람임 - 인지영역에서는 사고의 다양성, 비약 및 과장성(grandiosity)을 보임 - 행동영역에서는 과잉활동적이고 안절부절하며, 정서 영역에서는 불안정성, 흥분성, 민감성 및 기분의 고양을 나타냄 - T-점수 70까지는 정신적이나 신체적으로 활기넘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긴장도가 높아지고 생활에 가벼운 불만감을 느낌 - 70 이상이 되면 정신적 에너지의 증대가 문제를 야기할 정도로 과도하게 활동적이고 활발하며, 행동에 대한 억제가 부족하고, 화를 잘 내며, 너무 많은 일에 관여하지만 완성하는 일은 별로 없음 - 자신들의 정력.. 2023. 12. 26.
[MMPI-2] 척도 8: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Sc) 척도 8(Sc) - 타 임상척도보다 25 ~ 125%많은 78개 문항 - 다양한 사고, 감정, 행동 등의 장애를 다루는 내용 영역들이 있고, 특히 외부 현실에 대한 해석의 오류, 망상, 환각 등이 있을 수 있음 - 감정반응의 위축 및 양면성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현실회피적, 공격적 그리고 기태적 행동을 보임 - 사회적 소외, 가족간의 갈등, 주의집중 및 충동억제의 곤란, 깊은 흥미의 결여, 자기가치 및 자아정체에 대한 심한 의문 및 성생활 장애 등(Greene, 1980) - 척도 8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수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단독 해석이 가장 어려운 척도라 할 수 있음 - Harris와 Lingoes(1955)는 이 척도의 문항들을 세 개 소척도로 분류하고, 처음의 두 소척도는 작은 소척.. 2023. 12. 19.
[MMPI-2] 척도 7: 강박증(Psychasthenia, Pt) 척도 7(Pt) - 오랫 동안 지속되어 온 만성적 불안을 주로 측정 - 스트레스 상황에 의해 이 척도가 상승할 때도 있지만, 원칙적으로 이 척도는 걱정을 많이 하는 성격형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상황을 측정 - MMPI 제작 당시 Psychasthenia라는 진단 명은 요즈음의 강박증(Obsessive-compulsive disorder)에 가까움 - 부적응적임을 알고 있음에도 특정 행동이나 사고를 포기하지 못하는 상태가 특징 - 강박적인 행동 외에도 비정상적인 공포, 자기비판, 자신감의 저하, 주의집중 곤란, 과도한 예민성, 우유부단 및 죄책감 등을 측정 - 문항 내용들은 특정한 강박적 사고가 아니라 다양한 강박적 증상의 성격적 근거를 측정 - Comrey(1958d)는 신경증적 기질, 불안, 현실회피(.. 2023. 11. 27.
[MMPI-2] 척도 6: 편집증(Paranoia, Pa) 척도 6(Pa) - 척도 6을 구성하는 40개 문항들은 세 가지 특징을 나타냄 - 하나는 이 척도의 점수가 조금 높을 때(T-점수 60~70)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을 의미 - 70이상으로 높을 때는 이러한 예민성에 의심성이 첨가되어 다른 사람들이 악의를 갖고 있다 여기며 이를 경계함을 의미 - 마지막 특징은 자기정당성으로 "나는 당신을 위해 이렇게까지 했는데 당신은 나에게 어떻게 했는가"와 같은 감정을 나타냄 - Comrey(1958b)의 문항 요인분석에서 척도 6의 각개문항에 대해 4개의 편집증 요인(실제적인 박해, 상상적인 박해, 망상 및 희망의 상실과 죄책감) 및 편집증과 특별한 관계가 없는 다른 요인들(신경증적 기질, 냉소적 태도, 히스테리 및 경직성)이 나타남 - Harris와 Lingoes(1.. 2023. 11. 19.
[MMPI-2] 척도 5: 남성특성-여성특성(Masculinity-Femininity, Mf) 척도 5(Mf) - 척도명과 그것이 의미하는 진단적 현상과의 차이가 가장 현저한 척도 - 모든 임상척도 중 가장 잘못 이해되고 있는 척도 - 실제 현대사회에서는 남성적/여성적의 구별이 많이 모호해지고 있고, 남성특성-여성특성의 의미도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척도의 제작 당시와 많이 다르다 점에서 문제가 있음 - 실제적/잠재적 남성 동성애자들을 색출할 수 있다는 가정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짐 - 실제로 남자와 여자용 두 개의 척도 5가 존재하는 것이라 별개의 해석을 갖고 있음 - 남성들에게서는 여성특성을, 여성들에게서는 남성특성을 나타낼 때 비정상적으로 채점됨 - 따라서 비정상적인 성적 행동을 인정하는 5개 문항을 제외한 55문항이 남자와 여자의 채점이 반대가 됨 - 척도 5를 구성하는 60개 문항들의.. 2023. 11. 13.
[MMPI-2] 척도 4: 반사회성(Psychopathic Deviate, Pd) 척도 4(Pd) - '무엇인가와 싸우고 있는' 50개 문항으로 구성 - 갈등의 정확한 성질과 그 적절성은, 그에 수반된 혼란 정도(특히 척도 8의 상승) 및 상황 등에 의해 결정 -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알아보지 않고 이 척도가 나타내는 행동이 나쁘다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 문항 내용은 다양하고, 어떤 경우엔 서로 모순되기도 함 - 가정이나 권위적 대상에 대한 불만,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self-and-social alienation) 및 일상생활에서의 권태 등이 주요 측정 대상 - 사회적 적응곤란을 인정하며 동시에 사회적 침착성과 자신감을 함께 주장 - Kunce와 Anderson(1976, 1984)의 척도 4 기본차원은 주장성 - 새로운 상황에서 빨리 적응하고, 진취적이나 좌절 상황에서는.. 2023.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