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학 공부/MMPI-2&A

[MMPI-2의 임상적 해석] 2-8 / 8-2

by 쭈농 2024. 11. 15.
반응형

2-8 / 8-2

- 2-8과 8-2 척도쌍의 행동특성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기 때문에 별도로 보아야 한다
 
- 예민과 불안, 겁이 많고 다른 사람들과 깊은 관계형성을 두려워한다
 
- 해당 척도를 보이는 청소년 환자들의 주된 문제는 부적절한 정서적 반응이다(Marks et al., 1974)
 
- 대학생 내담자의 경우는 사고의 분열과 대인관계 회피성을 보이며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Kelly & King, 1980)
 
 

2-8

- 주된 문제는 심한 우울증이고, 불안감 및 안절부절못한 상태와 자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보인다
 
- 위와 같은 상태로 인해 혼동, 잘 잊어버림, 주의집중 곤란 등을 겪게 된다
 
- 사고장애, 불면 내지 피로감과 같은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
 
- 밀접한 대인관계나 사회적 활동을 피하고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경향이 있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 자살 사고가 있는 경우가 많아 자세한 평가가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 구체적인 자살계획을 보이기도 한다
 
- 증세가 강할 경우 만성적인 경계선적 적응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담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다
 

8-2

- 행동과 더불어 실제적인 정신분열증적 양상들을 더 나타내기도 한다
 
- 대인관계 회피가 가장 주된 특징이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과민하고 타인의 동기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다
 
- 과거에 심리적 외상을 경험했으며, 또다시 그와 같은 상처를 입을까 두려워해 밀접한 관계를 피한다
 
- 깊이 있는 관계의 결여가 무가치감을 증폭시켜 더욱 우울감에 빠지게 될 수 있다
 
- 환청이나 환시, 체계적인 망상이 있을 수 있고, 사고장애를 수반한다
 
- 신체적 증상이 기태적 성질을 띠고,  때로는 신체적 망상으로 보이기도 한다
 
- 자기주장을 잘하지 못하고 만성적인 적응곤란으로 정신과에 입원하는 경우가 많다
 


 
위 내용은 김중술 선생님의 저서「다면적 인성검사_MMPI의 임상적 해석」을 공부하며 작성하였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