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MMPI는 Hathway로부터 MMPI를 배운 이정균 교수 등이 표준화연구를 실시해
1963년 8월 처음 출판되었다.
당시 학생규준집단, 일반규준집단(비학생), 전체종합규준집단 등
세 개의 집단별 규준표(norm)를 작성했다.
이후 1988년 임상심리학회 회원 중 MMPI 수정 소위원회를 구성해 MMPI 문항을 검토하였다.
한편 1989년 미국에서 기존 MMPI에 대대적인 수정작업을 거쳐 MMPI-2를 제작했다.
사유는 다음과 같다
- 기존 MMPI제작당시 규준집단이 미국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하고
일부 지역(특히 미네소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음
- 문항의 내용에 지금은 쓰지 않거나 옛날 어휘가 들어 있음
(ex. 기독교신앙 관련 용어, 남녀 차별 용어, 성격 측정과 관련이 없는 성행위, 대소변기능을 다룬 용어 등)
(ex.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문항,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은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 등)
- 기존 MMPI 문항내용의 범위가 충분히 넓지 못해
자살 및 약물 등 심리검사 사용에 중요한 행동특성을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소수 민족에 대한 고려가 미흡
한국의 신판 MMPI와 미국의 MMPI-2는 여러 부분에서 일치점이 있었다.
규준집단을 현대화하였고, 불필요하거나 이해가 어렵거나 우리 문화와 맞지 않는 문항들을 수정하거나
일부 교체하고 어휘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문항내용의 범위를 확장하는 작업은 다소 미흡하였는데 이는 추후 보강해야할 점으로 남아있는 요소이다.
[MMPI-2] 다면적 인성검사의 실시
이전까지 손을 MMPI 채점을 진행했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컴퓨터 채점을 실시하고 있다. MMPI를 시행 및 해석하는 사람은 반드시 검사이론, 성격이론, 정신병리학, 정신과적 진단에 관해
jhkm27.tistory.com

위 내용은 김중술 선생님의 저서「다면적 인성검사_MMPI의 임상적 해석」을 공부하며 작성하였습니다 :)
'상담학 공부 > MMPI-2&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2] 타당도 척도(L척도) (0) | 2023.08.12 |
---|---|
[MMPI-2] 타당도척도(? 척도) (0) | 2023.08.09 |
[MMPI-2] 다면적 인성검사의 채점 (0) | 2023.08.01 |
[MMPI-2] 다면적 인성검사의 실시 (0) | 2023.07.31 |
[MMPI-2]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개요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