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학 공부/MMPI-2&A

[MMPI-2의 임상적 해석] 1-7 / 7-1, 1-8/ 8-1, 1-9 / 9-1

by 쭈농 2024. 11. 11.
반응형

1-7 / 7-1

- 오랫동안 지속된 긴장이나 불안과 관련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낸다

 

- 신체화경향을 보이며 우울하고, 감정억제가 심하며,

열등감이나 죄책감을 잘 느끼고 강박적 사고를 수반한다

 

- 대인관계 회피 경향이 있고 수줍음이 많으며

스스로 사교성이 부족하지 않은지 등 걱정이 많다

 

1-8 / 8-1

- 기태적 성질의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신체적 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 실제 정신병적 현상의 발현을 억제하려는 방어의 의미일 수도 있다

 

- 사교술이 서툴고 부적절감을 느끼며, 

특히 척도 0이 상승했을 때 더욱 그러하다

 

- 타인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사람을 멀리해 소외감을 느낀다

 

- 혼란된 사고, 주의집중 곤란, 기억력 장애, 감정의 둔화 등을 보인다

 

- 스스로 불행감과 우울감을 느끼며 적대심과 공격성을 속으로 강하게 느끼나

겉으로는 억제하는 경우가 많다(Graham, 1990)

 

1-9 / 9-1

- 여러 신체증상과 더불어 마음의 고통과 동요를 겪고 있어

긴장되고 안절부절못한 상태가 이어진다

 

- 소화기장애, 두통, 피로감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신체적 증상에 대한 심리적 설명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 외견상으로는 말을 잘하고 외향적이나 근본적으로 수동-의존적인 사람이고,

이와 같은 측면을 부인하려 한다

 

- 포부는 높으나 확고한 목표가 없고 자신의 무능에 좌절감을 느낀다

 

- 자신이 불안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물어보는 것 등으로

불안에 대한 인지적 접근이 도움이 된다


 
위 내용은 김중술 선생님의 저서「다면적 인성검사_MMPI의 임상적 해석」을 공부하며 작성하였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