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학 공부/MMPI-2&A

[MMPI-2의 임상적 해석] 4-9 / 9-4, 단독상승 5

by 쭈농 2024. 11. 24.
반응형

4-9 / 9-4

- 해당 코드타입에 대해 외국의 연구결과들은

대부분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중심으로 의견을 모은다

 

- 한국의 경우 임상장면에서의 빈도 자체도 낮고,

진단적 소견을 중심으로 하는 행동 양상에 있어서 외국의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 아직 외국의 연구규모에 비해 한국에서의 연구가 부족하기에

외국의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한 뒤, 일부 한국의 결과를 기술한다

 

- 어떤 형태의 과격한 행동을 나타낼 수 있는 사람들로서

척도 9의 상승이 척도 4가 나타내는 반항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 과잉활동적이고, 충동적이며 무책임하고, 신뢰롭지 못하다

 

- 대인관계는 얕고 피상적이며, 항상 문제를 일으키며,

대개 자신 및 가족의 평판을 떨어뜨리고, 반사회적 및 범죄행동도 종종 나타난다

 

- 사회적 기준이나 가치를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양심의 발달이 부족하고 윤리적 가치관이 불확실하다

 

- 정서적인 자극이나 흥분에 대한 과도한 욕구를 갖고 있어

이들의 과격행동은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 사회적인 상황에서 말을 잘하고, 불안이나 걱정 등을 보이지 않기에

일시적으로는 남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 그럼에도 자기중심성과 타인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대인관계는 피상적이고,

깊은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기힘들고 항상 정서적 거리를 갖는다

 

- 판단의 오류와 함께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해 경험으로부터 배울 줄 모른다

 

- 즉각적인 만족의 지연이 어렵고, 지속적인 노력을 요하는 일도 수행하기어렵다

 

-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려 하고,

단점이나 실패를 합리화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책임을 돌린다

 

- 대개 척도 6과 8이 함께 상승된 상태를 보이며,

특히 척도 9가 높다면 더욱 격렬하고 과격한 행동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해당 척도쌍을 보이는 청소년 정신과 환자들은(Marks et al., 1974)

반항적이며 도발적인 행동과 불복종, 무단결석을 주로 보이며,

부모와는 항상 갈등을 빚지만 친구는 많고, 친구들도 이들을 좋아한다

 

단독상승 5

- 척도 5의 상승과 관련된 경험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데,

그 이유는 척도 5가 초기의 임상척도에 들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 King과 Kelly(1977b)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척도 5를 포함하는 코드타입에 대한 행동 특성을 조사했는데,

척도 5는 주로 인문계를 전공하는 정상 남성 및

자신의 동성애 행동을 숨기려 하지 않는 공개적인 동성애자로부터 자주 상승했다

 

- 척도 5의 심리측정적 성질은 여자들이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어렵게 되어 있기에 T-점수 65 이상을 얻는 여자는 드문 편이다

 

- 단독상승 5 프로파일을 보이는 대학생 내담자들은(King & Kelly, 1977b)

대개 상담을 요청하지만 심각한 정신병리를 갖고 있지 않은 정상범주의 학생들이었다


 

위 내용은 김중술 선생님의 저서「다면적 인성검사_MMPI의 임상적 해석」을 공부하며 작성하였습니다 :)

반응형